주식 차트분석-주지표,보조지표
-
DMI, ADX (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)주식 차트분석-주지표,보조지표 2020. 3. 16. 18:38
ADX (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) [설명] - ADX는 J.Welles Wilder가 만든 추세지표로 DMI라고도 한다. - ADX는 추세의 강도를 +DI와 -DI는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볼수있다. - ADX 값이 0-25 추세가 없음 혹은 약함 25-50 추세가 강함 50-75 추세가 매우강함 75-100 추세가 극도로 강함 - 상승장에서는 +DI가 -DI보다 우세하고 하락장에서는 -DI가 +DI보다 우세하다. [사용법] - 교차시점에 매매하는 방법으로 +DI가 -DI를 상향교차할때 매수신호 -DI가 +DI를 하향교차할때 매도신호 - 둘의 간격이 많이 벌어졌을때 매매하는방법으로 +DI가 아래에 있고 -DI가 위에있을때 괴리가 크게발생할 경우 매수신호 - ADX..
-
이동 평균선주식 차트분석-주지표,보조지표 2020. 3. 13. 19:19
이동평균선 [설명] - 이평선이라고 하기도 한다. - 이동평균선은 가장 자주 쓰이는 기본 도구중 하나이다. - HTS나 MTS에서 추가 하게되면 5,20,60,120일선이 세팅되어있다.(추가를 안해도 보통 기본차트에 그려져있음.) - 5,20일 이동평균선은 단기, 60 이동평균선은 중기, 120일 이후 이동평균선은 장기 이평선으로 구분된다. - 단순이평이 주로 쓰이며 지수평균,가중평균을 사용하기도 한다. - 이동평균선이 상승했다는 것은 해당 일자 기간동안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. - 모든 이동평균선은 저항선과 지지선으로 본다. (단기이평선이 장기이평선을 만났을때 단기이평선이 상승중이였다면 저항선 하락중이였다면 지지선으로 본다) - 정배열은 이동평균선이 단기가 중기보다 위에 중기가 장기보다 ..